2. 유해 수용기
조직에 손상을 주거나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 자극을 가하면 이를 감지하는 수용기 가 있으며, 이것을 위해 수용기라 한다. 통각을 일으킬만한 자극에 의해 반응하는 수용기로는 유리 신경 말단이 작용한다. 악안면에 분포하는 유리 신경 말단은 유해 수용기로 악안면에 가해지는 유해성 자극에 반응하며, 안면 피부, 구강점막, 악관절낭, 치수, 치주 조직, 골막과 근육에 분포하고 있다. 악안면 통각과 관련 있는 유리신경 말단의 세포체는 삼차 신경절에 위치하여 동통을 일으킬 만큼 충분히 큰 기계적 자극이나 열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유수 신경인 A8 섬유와 조직 손상 시 유리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되는 무수 신경인 C섬유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안면 영역의 피부에 존재하는 유해 수용기의 구심신경은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유해한 기계적 또는 열자극에 반응하는 영장류에만 있는 A8 섬유이고, 둘째인 C-다류성 유해 수용기는 그 지배 신경의 흥분 전달 속도가 C 섬유로 (2m/sce 이하) 강한 기계적, 온도자극뿐만 아니라 화학적 자극에 대해서도 활성화되는 수용기로, 이 C 섬유는 기계적 혹은 열 자극이 제거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화끈거리는 통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세포는 기계적 유해 수용기로 강한 기계적 자극에 대해 가장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수용기로 전달 속도는 A4 섬유 범위에 속하며, 화학물질이나 유해 자극이 반복해서 작용될 경우에는 감작이 되어 유해성 열 자극에 대해서도 반응할 때가 있다.
통각은 화학적 수용기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는데, 손상 조직으로부터 유리되는 물질을 추출하여 전부에 주사하면 강한 통증을 나타내며, 이들은 통각의 화학 중계 물질로 제시되고 있다. 동작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은 산용액, histamine, bradykinin, sertonin, 아세틸콜린, 칼륨이온 등이 있으며, 특히 칼륨이온은 조직 손상시 손상된 세포로부터 유리되어 세포의 체액의 농도가 증가됨으로써 통각을 일으키고, 수소이온 농도와 동작의 강도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 Prostaglandin은 유해 수용기에 대한 화학적, 기계적 및 열 자극에 대한 신경의 반응을 향상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유해 수용기를 감작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3. 1차 구심로
악안면 통각의 1차 구심로를 이루는 신경섬유는 A4 섬유와 C섬유가 있다. A 섬유는 직경이 가는 유수 신경 섬유로 흥분전달 속도는 5~30m/sec이며, 이 신경을 통한 감각은 유해한 열 자극이나 기계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고 전달되는 통각은 예리하고 찌르는 듯한 감각이다. 무수 신경이며 흥분전달 속도가 0.5~2m/sec 정도인 C 섬유는 높은 크기의 기계적 및 화학적 또는 열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며, 피부뿐만 아니라 심부 조직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장 악안면 영역의 감각(14) (0) | 2022.12.03 |
---|---|
1장 악안면 영역의 감각(12) (0) | 2022.12.03 |
1장 악안면 영역의 감각(11) (0) | 2022.12.03 |
1장 악안면 영역의 감각(10) (0) | 2022.11.25 |
1장 악안면 영역의 감각(9) (0) | 2022.11.25 |
댓글